통풍이란 몸속에 요산이라는 물질의 혈중 농도가 높아져 몸속에 쌓이게 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요산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요산염 결정체가 혈액, 체액, 관절액 등에 많아지게 되고, 많아진 요산염 결정이 연골이나 힘줄 등의 주위 조직에 쌓이게 되는 질환입니다.
통풍은 관절의 염증을 만들어 재발성 통증 발작을 일으키며, 요산염의 축적으로 인해 관절의 변형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신장질환이나 신장에 돌이 생기는 콩팥돌증(nephrolithiasis, 신장결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2. uric acid 검사의 원리
요산 검사는 혈액 내의 요산 농도를 측정하는 검사로, 요산은 체내에서 퓨린 뉴클레오티드의 분해로 생성되며, 주로 신장을 통해 배출됩니다. 요산 검사는 혈청 내의 요산 농도를 측정하여 수행됩니다. 효소 반응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을 통해 요산 농도를 측정합니다.
3. uric acid 임상적의의
요산 검사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고요산 혈증의 진단: 고요산 혈증은 요산의 과다 생성 또는 배출 부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관절염과 요로 결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농도 요산증이라 해서 모두 통풍이라고 확진되는 것은 아닙니다. 증상이 없이 요산 수치만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관절염 관리: 관절염 환자의 경우, 요산 농도 상승으로 관절 염증 및 통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요산 농도를 모니터링하여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조절합니다.
요로 결석 평가: 고농도 요산은 요로 결석의 형성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요산 농도가 높은 경우, 결석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4. uric acid 결과 해석
4-1. uric acid 정상치
남성은 3.4 ~ 7.2 mg/dL
여성은 2.4 ~ 6.0 mg/dL
4-2. uric acid 증가
무증상 고 요산 혈증, 통풍, 식단, 백혈병, 항암치료, 신장 기능 저하 등에서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4-3. uric acid 감소
간세포 질환이나 일부 신장질환에서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4-4. uric acid 공복 여부 및 주의사항
요산 수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통풍이라고 보지는 않습니다. 임상증상을 동반하는지와 영상 검사 같은 여러 다른 검사와의 종합적 소견도 중요하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식사와 운동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공복에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통풍에 좋은 음식 및 생활 습관
통풍은 식이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퓨린 제한 식이 요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단백, 고 콜레스테롤인 고기와 내장류의 식품을 삼가야 하며, 음주(맥주)도 삼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