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산구 수치 증가 원인 5가지 치료방법 임상적의의 : Eosinophil count

호산구 수치 증가 원인 5가지 치료방법 임상적의의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호산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염증세포의 기능과 면역세포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알레르기질환과 기생충 감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호산구 수치 증가

호산구란? 

호산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염증세포의 기능과 면역세포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알레르기질환과 기생충 감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호산구 수치 증가 임상적의의

호산구 증가는 단순한 면역 반응일 수도 있지만, 만성적인 호산구 증가는 기저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 단기적인 증가 → 알레르기 반응, 감염 등이 원인
✅ 장기적인 증가 → 자가면역질환, 혈액 질환, 종양 가능성 고려

호산구 수치 증가 원인 5가지

호산구 수치 증가 원인 대표적인 원인은 아래의 5가지가 있습니다.

1️⃣ 알레르기 질환 🤧

알레르기 반응은 호산구 증가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기관지 천식(Asthma)
알레르기 비염(Allergic rhinitis)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두드러기(Urticaria)

이런 질환에서는 호산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염증 반응을 유발하며, 혈액 검사에서 수치 증가가 확인될 수 있습니다.

2️⃣ 기생충 감염 🦠

호산구는 기생충 감염 시 방어 역할을 합니다.
회충(Ascaris), 편충(Trichuris), 십이지장충(Hookworm) 등의 장내 기생충
사상충증(Filariasis) 및 주혈흡충증(Schistosomiasis)

기생충 감염이 의심될 경우 대변 검사나 추가적인 혈액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3️⃣ 약물 반응 💊

일부 약물은 면역계를 자극하여 호산구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항생제(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아스피린 등)
항경련제(페니토인, 카바마제핀 등)

이런 약물을 복용한 후 호산구 증가가 나타난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대체 약물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4️⃣ 혈액 질환 및 면역질환 🩸

호산구성 백혈병(Eosinophilic leukemia)
호산구 증가 증후군(Hypereosinophilic syndrome, HES)
자가면역질환(Churg-Strauss syndrome 등)

이러한 질환은 비교적 드물지만, 호산구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고 다른 원인이 없다면 혈액 내 면역 관련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5️⃣ 특정 암 및 종양 🦠

림프종(Lymphoma, 호지킨 림프종 등)
백혈병(Leukemia, 골수성 백혈병 등)
특정 고형암(폐암, 위암, 대장암 등)

일부 악성 종양에서는 호산구가 증가할 수 있으며, 원인을 찾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호산구 수치 계산법

  • 1. 백분율(%) 기준

호산구는 백혈구(WBC)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인 검사에 나오는 결과입니다.

🔹 정상 범위:
0~5% (혈액 1μL당 전체 백혈구 수 대비)

🔹 검사 필요 기준:
5% 이상 → 호산구 증가증(Eosinophilia) 의심, 원인 감별 검사 필요

  • 2. 절대 호산구 수(Absolute Eosinophil Count, AEC)

호산구 백분율만으로는 정확한 상태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절대 호산구 수(AEC) 를 함께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절대 호산구 수(AEC)=총 백혈구 수(WBC, 개/μL)×(호산구 백분율/100)

  • 총 백혈구 수(WBC)가 8,000개/μL이고,
  • 호산구 비율이 6%라면 8000X(6/100)=480

 

✅ 정상 범위: 100~500개/μL
✅ 검사 필요 기준: 500개/μL 이상

 

호산구 수치 정상치 

🔹 경미한 증가 (Mild Eosinophilia):
500~1,500개/μL
➡ 원인 불명 시 추가 검사 필요 (알레르기, 감염, 약물 반응 등)

🔹 중등도 증가 (Moderate Eosinophilia):
1,500~5,000개/μL
➡ 원인 감별 필수 (자가면역질환, 혈액 질환 등)

🔹 심한 증가 (Severe Eosinophilia):
5,000개/μL 이상
➡ 혈액 질환(호산구 증가 증후군, 백혈병 등) 가능성

정리해보면 호산구 수치 검사 원인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를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호산구 비율이 5% 이상이거나
✅ 절대 호산구 수가 500개/μL 이상일 때
✅ 동반 증상(발진, 호흡곤란, 소화기 증상 등)이 있는 경우

 

 

호산구 수치 증가 치료방법

호산구 수치가 증가했다고 해서 무조건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원인을 찾고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레르기 질환 →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환경 관리
기생충 감염 → 항기생충제 처방(알벤다졸, 메벤다졸 등)
약물 반응 → 유발 약물 중단 및 대체 약물 고려
혈액 질환 및 면역질환 → 면역억제제, 스테로이드 치료
암 및 종양 → 종양 제거, 항암 치료

호산구 증가의 원인에 따라 치료가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CBC 검사 임상적의의 항목 정상치 결과해석